도서관 2.0 시대의 사서 2.0에게 기대되는 역할에 관한 연구
The Expected Role of Librarian 2.0 in the Library 2.0 Era
- 한국정보관리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Vol.27 No.2
-
2010.01201 - 216 (16 pages)
- 0
도서관 2.0 개념은 웹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웹 2.0의 개념에서 비롯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도서관 2.0은 웹2.0의 조합이고 가장 주목할만한 특징은 상호작용과 이용자 참여라 할 수 있다. 변화된 도서관 환경에서의 이용자 역할의 비중은 도서관 소장자료에 대한 그들의 태깅, 블로깅, 서평 등과 같은 기여로 점점 더 커져왔다. 이렇듯 이용자의 역할이 변화하면서 도서관 사서들의 책임 또한 이용자들이 만들어낸 정제되지 않은 정보원의 점검자 역할에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결국 정보의 생산자, 조직가, 제공자, 관리자 뿐만 아니라 조정자의 역할로 확장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도서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식되는 도서관 2.0과 그 발전에 대한 최근의 연구들을 살펴보고 도서관 2.0 측면에서의 사서의 확대된 역할로서 사서 2.0에 대해 논하였다.
The idea of Library 2.0 originated from the concept of Web 2.0 social interactions within the Web. From this aspect, Library 2.0 is a library blended with Web 2.0. The most remarkable features of Library 2.0 are interactions and user involvement. Users' roles in new library environments are greater since the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library collection by annotating, blogging, reviewing, etc. While users' roles become important, the responsibilities of the librarians increase due to the unfiltered information created by users. Librarians now should extend their roles as information creators, organizers, providers, managers, as well as moderators.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new paradigm of digital libraries, Library 2.0, and the development of Library 2.0. In addition, we discuss the extended role of the Librarian 2.0 in Library 2.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