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악 열성장형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의 상악 치아 성숙도
THE DENTAL MATURATION OF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 대한소아치과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TATRIC DENTISTRY
- Vol.38 No.2
-
2011.01119 - 128 (10 pages)
- 0
초기 혼합치열기 어린이의 전치부 반대교합 평가과정에서는 부정교합의 골격적 특성이 강할수록 상악 치아의 맹출 및 형성이 현격히 지연되는 것이 흔히 감지되었다. 만일 두개안면부의 전후방적 골격적 특성이 치아의 성숙도와 연관성을 가진다면, 치아의 발육과 맹출에 대한 평가가 반대교합의 조기 감별진단의 한 도구로써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초기 혼합치열기의 상악 열성장형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 상악의 치아 석회화도와 맹출률, 그리고 측두방사선규격사진 분석을 통한 수종의 계측치 간 연관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교정적 목적으로 내원한 Hellman 치령IIA IIC 아동 중,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III급 부정교합 증례로부터 상악 열성장군과 상악 정상군 각 50례를 무작위 추출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측두방사선 규격사진과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각 군의 골격적 양상, 상하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을 구하고 그 차이와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 군의 상악 치아 성숙도 비교에 있어서 상악 열성장군의 제 1대구치만 석회화도와 맹출률 이 낮게 나타났다(p<0.05). 2. 역령은 상악 치아의 석회화도와 맹출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상하악의 전후방적 악골 관계중 Wits는 상악 제 1대구치의 석회화도와 맹출률 모두를, SNA는 맹출률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나타났다(p<0.05).
In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in early mixed dentition, it has frequently been detected that the stronger the skeletal pattern of the malocclusion is, the more markedly delayed the development and eruption of maxillary teeth are. If the anteroposterior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has any relationship with dental maturation, the evaluation of dental development and eruption was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to early diagnosis of crossbite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maturation of maxillary teeth and some cephalometric values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in early mixed dentition. Among the children in Hellman dental age IIA and IIC who attended the Pediatric Dental Clinic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orthodontic problems, case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classified and 50 cases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and type with normal maxilla respectively were randomly selected and studied as subjects. From their lateral cephalographs and panoramic radiographs, their anteroposterior skeletal features, the dental maturity and eruption rate were obtained of each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to yield the results as follows: 1. Comparing the maturity of maxillary teeth of both groups, only the first molars of maxillary undergrowth group showed significantly slower development and eruption (p<0.05). 2.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maturation of maxillary 1st molar and chronological age(p<0.05). 3. Among the parameters of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skeletal pattern in maxilla and mandible. Wits was revealed as a useful index to predict both the calcification and eruption rate of the 1st molars whereas SNA was to eruption rate(p<0.05).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