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각촬영카메라의 3차원 위치정확도 분석
The Analysis of 3D Position Accuracy of Multi-Looking Camera
- 대한공간정보학회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Vol.19 No.3
-
2011.0133 - 42 (10 pages)
- 0
항공사진을 이용한 3차원공간정보구축 방법이 대두됨에 따라, 효율적인 작업 방법과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져 오고 있다. Pictometry를 활용한 3차원공간정보구축에는 경사사진과 수직사진이 동시에 획득되어지므로 기존 사진측량이론과 상이한 다각촬영(Multi-Looking)카메라의 작업방법에 따라 3차원 위치결정을 수행한다. 이때 지상기준점의 관측수량 및 배치는 최종성과물인 정밀정사영상(True Orthoimage)의 절대정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기준점 수량 및 배치에 따른 정밀정사영상의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고 허용오차범위를 만족시키는 지상기준점 선점 기준을 확인하였으며 다각촬영카메라의 3차원위치결정 작업방법에서 효율적인 지상기준점 관측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method of generat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aerial photographs was introduced, lots of researches on effective gener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have been performed. Nadir and oblique imagery are acquired in a same time by Pictometry system, and then 3D positioning is processed as Multi-Looking Camera procedure. In this procedure, the number of GCPs is the main factor which can affect the accuracy of true-orthoimage. In this study, 3D positioning accuracies of true-orthoimages which had been generated using various number of GCPs were estimated. Also, the standard of GCP number and distribution were propos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