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예제에 의한 질의: 시각정보 검색지원을 위한 이미지 질의 패러다임의 유용성 비교 연구
Query by Visual Exampl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icacy of Image Query Paradigms in Supporting Visual Information Retrieval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Vol.42 No.3
-
2011.0171 - 94 (24 pages)
- 0
시각적 실례에 의한 질의는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환경에서 질의 표현을 위한 중요한 질의 패러다임이다. 이미지 및 스케치에 의한 질의는 질의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오랫동안 알려졌다. 하지만 이 방법이 질의를 쉽게 작성하는 데 얼마나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효율성에 대한 실험적 입증은 아직 미미하다. 정보검색시스템에 표현하는 탐색자의 능력은 검색과정의 기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탐색자의 정보 문제와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인 시각적 질의 작성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질의 방법들 간의 지식 격차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정보 요구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유용성 실험을 통해 이미지에 의한 질의와 스케치방법에 의한 질의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미지에 의한 질의가 시각적 질의 작성에 실행 가능한 접근방식임을 제시한다. 반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탐색자의 정보 문제와 시각적인 질의 작성에 도움을 주는 스케치 패러다임에 의한 질의표현 능력 간에 상당한 불일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율(시간)과 유효성(오류)에 초점을 둔 유용성 실험결과와 이용자의 만족도는 큰 차이점이 있다고 보여준다(p<0.001). 이는 다음 세 가지 측정(시간, 오류, 이용자의 만족도)에 대한 두 가지 질의 방식(이미지에 의한 질의, 스케치에 의한 질의) 사이에서 나타난 시간(Z=-3.597, p<0.001), 오류(Z=-3.317, p<0.001), 그리고 만족도(Z=-10.223, p<0.001)에서 드러난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질의도구를 참가자가 인지하는 유용성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Z=-4.672, p<0.001).
Query by visual example is the principal query paradigm for expressing queries in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environment. Query by image and query by sketch have long been purported as being viable methods of query formulation yet there is littl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ir efficacy in facilitating query formulation. The ability of the searcher to express their information problem to an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s fundamental to the retrieval process.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query by image and query by sketch methods in supporting a range of information problems through a usability experiment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ap in knowledg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ers' information problems and the query methods required to support efficient and effective visual query formul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ggest that query by image is a viable approach to visual query formulation. In contrast,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mismatch between the searchers information problems and the expressive power of the query by sketch paradigm in supporting visual query formulation. The results of a usability experiment focusing on efficiency (time), effectiveness (errors) and user satisfaction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between the two query methods on all three measures: time (Z=-3.597, p<0.001), errors (Z=-3.317, p<0.001), and satisfaction (Z=-10.223, p<0.001).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nts perceived usefulness of the query tools Z=-4.672, p<0.001.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