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 태안군 고남면 모래톱 갯벌 사례 -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바지락 치패발생장 조성을 위한 모래살포가 저서동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모래살포 전 후 저서동물군집과 퇴적환경의 시.공간 변화에 초점을 맞춰 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래살포 작업은 2010년 7월에 태안군 고남면 모래톱 갯벌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장조사는 모래살포구역(실험구)과 비살포구역(대조구)에 각각 3개 정점을 선정하고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10회에 걸쳐 진행하였다. 모래살포 후 실험구의 표층퇴적물은 극조립사로 변했으나 약 4개월 후부터 계절적인 세립화가 진행되어 약 8 개월 후 모래살포 이전과 동일한 극세립사로 되돌아갔다. 모래살포 직후 실험구 저서동물군집의 출현종수 및 개체밀도는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주로 Apocorophium acutum, Photis sp. 등의 갑각류에서 피해가 컸다. 그러나 감소된 출현종수와 개체밀도는 기존종의 회복과 주변 서식종의 재점유 과정을 통해 점차 증가하였으며, 출현종수는 모래살포 후 약 3개월 뒤에, 개체밀도는 약 4개월 뒤에 본래의 수준을 회복하였다. 저서동물군집의 우점종은 모래살포 전에 A. acutum, Photis sp. 등이었으나, 모래살포 직후 Heteromastus filiformis, Macrophthalmus japonicus 등을 거쳐, 가을 이후 Musculista senhousia, Ruditapes philippinarum, Mediomastus californiensis 등으로 변해갔다. 모래살포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서 표층퇴적물의 특성과 생태지수는 모래살포 전과 유사한 수준을 회복하였으나 군집의 구조는 지속적인 종조성 변화로 인해 연구 후반까지도 모래살포 전의 구조를 회복하지 못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and addition to an intertid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nila clam habitat on benthic community structure. For this, we focused on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the surface sediment condition and benthic community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event. Study site was an sandbank in Gonam-myeon, Taean-gun where sand added to on July 2010. We set three stations at each of sand adding area (experimental plot) and non sand-adding area (control plot) and did sampling works ten times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Directly after the event, surface sediments changed to very coarse sand, but the state was not maintained over four months because of seasonal sedimentation and finally got back to very fine sand in eight months. The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temporarily reduced right after the event and crustacean species such as Apocorophium acutum, Photis sp. were most negatively affected by the event. However, the number of species recovered from the reduction in three months and density did in four months due to the recolonization by the existing species and species in the vicinity of the plot. During the study period, dominant species continuously changed from the species such as A. acutum, Photis sp. at the time before the event, through the species such as Heteromastus filiformis, Macrophthalmus japonicus at the time right after the event, to the species such as Musculista senhousia, Ruditapes philippinarum, Mediomastus californiensis in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period. Although surface sediment properties and ecological indices recovered with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event, the recovery of community structure has never been observed up to the end of the stud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