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복합 치아종의 보존적 외과적 적출: 증례보고

CONSERVATIVE SURGICAL REMOVAL OF COMPOUND ODONTOMA: CASE REPORTS

  • 6
커버이미지 없음

치아종은 외배엽성 상피세포와 중배엽성 세포의 과성장으로 형성되는 혼합종양이다. 대부분 정상 치아 발생 시기 동안 형성되며 어느 정도 크기까지만 자라므로 진성 종양이 아닌 과오종으로 여겨진다. 형태에 따라 복합 치아종과 복잡 치아종으로 구별된다. 복합 치아종은 주로 구강 전방부에서 발견되며 작은 치아와 비슷한 방사선 불투과성 구조물을 함유하고 있는 병소이다. 치아종의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인 외과적 적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거의 없다. 본 증례는 유치 및 영구치의 맹출 장애를 일으킨 복합 치아종으로 진단된 세 어린이에서 병소의 외과적 적출술을 시행하고 약 1년간 관찰한 결과 자발적 맹출을 보여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Odontoma is a mixed tumor formed by the overgrowth of ectodermal epithelial cells and mesodermal cells. It arises during normal tooth development and only grows to a certain level. It is not a true neoplasm and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hamartomas. Odontomas are classified into compound and complex types based on morphology. Compound odontoma is commonly found in the anterior region of the maxilla, and has a radiopaque lesion that resembles small teeth. Usually, odontoma is treated by conservative surgical removal and there is little probability of recurrence. This paper describes three cases of compound odontoma diagnosed in children with 1 year of follow-up. These case reports present patients having eruption disturbance of primary and permanent teeth due to the presence of compound odontoma. In order to induce spontaneous eruption, conservative surgical removal was performed showing favorable result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