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tential 'O-GlcNAc-P'om'
- 한국생명과학회
- Journal of Life Science
- Vol.23 No.2
-
2013.01324 - 331 (8 pages)
- 0
O-GlcNAc 화(O-GlcNAcylation)는 단백질의 serine이나 threonine에 N-acetylglucosamine (GlcNAc) 분자가 결합하는 것으로, 기존의 당단백질과 달리 세포질 및 핵단백질 모두에 일어난다. 또한 수정의 속도가 빠르고 가역적으로 일어남이 인산화 수식과 유사하다. 그러나 수많은 인산화효소와 탈인산화효소가 관여하는 것과 달리 O-GlcNAc 수식은 O-GlcNAc transferase (OGT)와 O-GlcNAcase (OGA) 단 두 개의 효소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순한 조절기전은 세포가 내외환경에 즉시 적응할 수 있도록 진화한 것으로 해석된다. 즉, O-GlcNAc 수식은 특정한 단백질 하나 하나의 활성을 켜거나 끄는 것이 아니라, 세포의 신호전달과정의 효율을 전반적으로 조절하는 '가변저항기(rheostat)' 역할을 한다. O-GlcNAc 수식은 흔히 같은 아미노산 혹은 그 주변의 아미노산이 인산화되는 것을 수반하는데, 이는 인산화와 함께 서로 조화를 이루어 세포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O-GlcNAc이 더 나아가 O-GlcNAc-P로 인산화될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는 바, 본 총설에서는 이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실제 실험결과를 소개한다.
The addition and removal of N-acetylglucosamine (GlcNAc) molecules on serine or threonine residues of a protein is called O-GlcNAcylation. Th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occurs on both cytoplasmic and nuclear protein, and is fast and reversible as comparable to phosphorylation. In contrast to the phospho-signaling cycles, this emerging moon-lightening signaling is cycled by only two enzymes, O-GlcNAc transferase (OGT) and O-GlcNAcase (OGA). The simple machinery is a good evolutionary adaptation of a cell for quick accommodation to continuously fluctuating intra- and extracellular microenvironments. Rather than "switching" on or off a specific proteins - this would be done by phosphorylation where numerous specific kinases and phosphatases are involved - O-GlcNAcylation would play a "rheostat" which would be much more delicately increase or decrease the efficacy of signal transductions in response to cellular nutrient and stress conditions. Interestingly, recent evidence indicates that O-GlcNAc is further modified by phosphorylation. The O-GlcNAc-P will upgrade the modulation efficiency of cellular processes to continuous 'analogue' level. So far, only one protein AP180 was reported to have O-GlcNAc-P on Thr310. But, proteomic data from our laboratory indicate that there are multiple O-GlcNAc-P proteins, constituting "O-GlcNAc-P'om". This will focus on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O-GlcNAc-P'om".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