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 0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유아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시에 위치한 2곳의 유치원에서 만 3, 4, 5세 유아 각 40명씩 총 120명과 그 아버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아버지가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자율적 애정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정서지능은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아버지가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부적 양육태도를 보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자율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ubject were 120 children and their father who wer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n J city. Data analysed with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ather's self-esteem and affective 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Second, the father's affective 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has effect on the children's self-este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father's self-esteem and affective 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Fourth, the father's affective autonomous child rearing attitude has effect on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