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소셜 커머스 시장의 롱테일 현상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n Long Tail Patterns with Online Daily Deals

  • 10
커버이미지 없음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롱테일 경제가 출현함에 따라 80/20 룰로 알려진 파레토 법칙의 일반적인 적용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 집중도의 변화는 인터넷 인프라 기반기술 위에 구현된 대량맞춤(mass customization)에서 기인한다고 예측된다. 본 연구는 그루폰과 유사한 소셜 커머스 웹사이트로부터 얻은 실거래 정보를 실증 분석하여 제품 및 고객 집중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전 전자상거래 연구와 같이 소셜 커머스에서도 파레토 법칙과 다른 롱테일 패턴이 나타났다. 더욱이 email 또는 SMS를 통한 홍보가 판매 집중도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email과 SMS를 통한 홍보는 모두 소셜 커머스 쿠폰 판매를 증가시킬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SMS 홍보는 쿠폰 전반적으로 판매를 증가시키나, 소량 판매 제품의 경우 email 홍보는 오히려 제품 판매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The renowned Pareto rule of 80/20 has been challenged in the electronic marketplace with the emergence of long tail economy. Mass customization on top of the Internet infrastructure is expected to explain these changes of product concentration. In this paper, we empirically analyzed the micro-transactional data of a Groupon-like daily deal web site to identify the changes of product and customer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 the long tail pattern aligned with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commerce literature on the long tail. We find that the notification setting on email or SMS about daily deal influences the patterns of sales concentration. The information through email and SMS is expected to enable consumers to know about daily bargains and purchase the coupons eventually. However, the email notification for niche products results in the decreased sales while the SMS notification for overall product promotes overall product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