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스마트교육.디지털교과서 효과성 검증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에서 교육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스마트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교육의 목표를 21세기 학습자역량 증진, 교수자 역량 증진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각 하위요소를 7개 영역 5개 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소에 따라 문헌연구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하위요소의 정의 및 설문문항을 확정하였다. 학습자 역량 증진의 하위요소는 창의력과 혁신능력,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학습력, 유연성으로 선정하여 26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교수자 역량의 세부 영역은 21세기 학습자역량 이해, 정보활용능력, 학습자와의 관계형성, 수업설계, 평가 및 성찰로 24개의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설문문항은 스마트 교육 및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tool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sing digital textbooks and smart education. We then developed the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 utilization, which were an identification of 1) seven essential 21st century skills, definitions of each, and prerequisite abilities; 2) five 21st century teacher competencies, definitions of each, and prerequisite abilities;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n this area, consulted experts, observed classes, interviewed members of focus groups, and met with policy maker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ERIS. The student questionnaire(26 Questions developed) included; creativity and innova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ICT literacy, self-directed learning, and adaptability. The teacher questionnaire(24 questions developed) included; 21st Century Skills, ICT Literacy, Rapport building with learners, Instructional design, Evaluation and reflection. The tools we developed will be able to use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 education and digital textbook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