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위험 정책결정을 위한 공론화 과정의 실제
Public Deliberation for Technological Risk Policy Making in a Real-World Context
- 한국기술혁신학회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Vol.20 No.4
-
2017.01837 - 857 (21 pages)
- 0
다양한 이해관계와 가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기술위험관련 정책결정에 시민 및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의사결정방법이 주목 받고 있다. 기술위험관리 방식으로서 일찍이 서구사회에서 학술적, 정책적으로 논의되어 온 공론화는 여러 분야의 과학기술정책 영역에서 실험되고 있다. 본고는 공론화의 이론적 근간인 숙의민주주의에서 정의하고 기대하는 공론화 과정과 실제로 다양한 이해와 가치가 얽혀있는 당사자들이 참여하여 기술위험정책에 관한 의사결정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실제로 영국에서 방사성폐기물 관리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된 대규모 공론화 프로그램(CoRWM 프로그램)의 주요 관계자를 인터뷰하고 각종 공식, 비공식 문헌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기술위험에 관한 공론화 과정의 실제는 이론에서 전제된 공동의 선을 위한 합리적 논쟁과정이라기 보다, 여러 이해관계자들 간의 다양하고 복잡한 물적, 사회적, 정치적 상호작용 및 관계맺기로 드러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gap between the theoretical premises of, and the ways that public deliberative approaches to decision-making function in application to a specific instance of technological risk policy. An interrogation of a UK nationwide public deliberation case-the CoRWM program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a real-world instance of public deliberation illuminates some significant contrasts in the ways that public deliberation takes place to those characterized in theory. A public-engaged deliberation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in reality does not emerge as rational reasoning for the common good. Instead, it was rather a complex mix of various forms of material, social and politic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