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과 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대학생활 만족도와의 융합 연구
A Systematic Analysis of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and a Convergence Relationship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 한국융합학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Vol.9 No.7
-
2018.01141 - 147 (7 pages)
- 0
치위생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부분을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대학생활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지역에 소재한 치위생과 학생 29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스트레스 반응척도, 대학생활 만족도를 융합연구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척도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피로와 좌절, 우울, 분노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 만족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는 심각한 경우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학생활의 스트레스가 부적응과 불만족을 가중 시킬 것을 예상 할 때 스트레스 반응척도를 이용한 체계적인 분석 연구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대학생활 만족도 향상에 분명히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치위생과에 맞는 스트레스 반응 도구의 개발과 분석을 제안한다.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stres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299 dental students and students in Gyeongnam area studied stress, stress response scale, and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systematic analysis according to the scale of stress response showed high values in fatigue, frustration, depression and anger.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stress experienced negatively. Stress can give you a negative impact that can lead to serious illness. A systematic analysis using the stress response scale is expected to help reduce stress and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when the stress of college life is expected to increase maladjustment and dissatisfaction. We suggest the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stress response tool suitable for dental hygienist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