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의 융합적 접근-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도를 낮추는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2013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초등학교 4학년 4차중 중학교 1학년 1,97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는 SPSS 21.0이 사용되었다.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과 휴대전화 의존도 사이에서 갖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방식은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휴대전화 의존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자아탄력성은 휴대전화 의존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두변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했다. 성별은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역할을 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자녀에게 과도한 휴대전화 의존도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 direction to reduce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ourth data for 4th graders who were 1,972 of 7th from the 2013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SPSS 21.0 was used.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gender-moderating effects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dat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ncreased ego-resiliency while lowering mobile phone dependency. Ego-resilienc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two variables. Gende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direction to cope with the problems which can result from the excessive use of mobile phone for both parents and their childre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