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의 ICT창업정책
Moon Administration's ICT Startup Policy
- 한국정보통신학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Vol.22 No.11
-
2018.011495 - 1504 (10 pages)
- 0
문재인 정부는 새로운 여건 창출, 적극적인 투자 및 벤처 투자의 선순환이라는 세 가지 성장 방향을 제시했다. 정책은 점진적이지만 현재의 한국 경제 환경에서 벤처 기업의 혁신 붐을 창출하는 데는 충분하지 않다. ICT 창업 지원 정책은 제품 출시 단계에 좀 더 집중되어야한다. 창업기업 및 중소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위한 가치 사슬 확립이 중요하다. 대기업과의 기술 협력 및 해외 공동 진출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확보가 필요하다. 창업 정책의 최종 목표는 국가 경제의 지속적 성장과 고용 확대이다. 창업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공정 거래의 확립과 창업 생태계의 강화가 중요하다. 자금 지원 프로그램은 보편적 지원에서 선택과 집중 강화로 전환해야한다.
The Moon administration has proposed three major directions for startup growth: the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active investment, and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in venture investment. The policy is progressive but not sufficient to create a startup innovation boom in the current Korean economic environment. ICT Startup support policies must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duct release stage. For growth of startups and small business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lose value chain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ridgehead to advance into the global market, including technical cooperation with large companies and joint advancement overseas. The final goal of the startup policy should be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expansion of employment. The establishment of fair trad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startup ecosystem are important to foster a startup-friendly environment. Funding programs requires a shift from general support to enhanced choice and focu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