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정신건강 문제의 발견과 관련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and the Utilization of Related Services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9 No.9
-
2019.01308 - 320 (13 pages)
- 0
본 연구는 가족돌봄자가 노인의 정신질환을 주로 어떤 증상을 통해 발견하였는지를 알아보는 한편, 가족돌봄자를 중심으로 노인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게 이끄는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문제를 갖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324명의 자료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돌봄자가 노인 환자의 정신건강질환을 의심하게 된 주된 증상은 기억력 저하와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인이 노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인의 장기요양등급, 가족돌봄자의 나이, 노인을 돌본 기간, 가족돌봄자가 느끼는 돌봄 스트레스의 수준, 가족 돌봄자의 노년기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 가족돌봄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가족돌봄자의 관점에서 노인 정신건강문제 조기 발견과 대응 및 관련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major symptoms that help family carers detect mental illness in elderly patient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with a focus on family car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ly detected symptoms that caused the family carers to suspect mental illness in the elderly patients were memory decline and other form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Second,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included the patient's long-term care insurance level, the age of the family carer, the period of care, the level stress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care felt by the carer, his understanding of geriatric mental illnes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arly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elderly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utilization of related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carers of the elderl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