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이용자의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강박적 유튜브 사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and Use Motivations of YouTube Users on Compulsive YouTube Usage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9 No.9
-
2019.01512 - 520 (9 pages)
- 0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인 유튜브의 강박적 사용에 대해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성격 특성 관점(호감성, 성실성, 신경성, 외향성, 개방성)과 이용 동기 관점(실용적, 쾌락적, 사회적 동기)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165개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첫째, 호감성과 성실성이 높을수록 강박적 유튜브 사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용적 이용 동기가 높을수록 강박적 유튜브 사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튜브 이용자들에게 강박적 사용의 위험성을 경고할 뿐만 아니라, 자체 관리 전략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ulsive use of the social media platform, YouTub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built a research model that considered how the personality trait perspective(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and the use motivation perspective(utilitarian, hedonic and social use motivations) work together to explain compulsive use of YouTube. The survey method was used for this paper, and data from a total of 16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both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have a negative effect on compulsive use of YouTube. Second, utilitarian use motiva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compulsive use of YouTub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not only alerts YouTube users to the risks of compulsive YouTube use, but also helps them to develop self-management strateg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