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훼이스 마스크의 견인위치에 따른 응력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in using Face Mask according to Traction Point

  • 0
커버이미지 없음

훼이스 마스크(Face mask)를 사용하여 상악을 견인하였을 때, 두개안면 복합체의 생역학적 반응을 이해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face mask를 사용하여 상악 제 1 소구치와 제 1 대구치에서 상악을 전방으로 견인하였을 때 두개봉합구조에 발생하는 응력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다. 13세 6개월 된 남자 환자의 유한요소분석을 위하여 전산화단층사진 촬영으로 얻은 DICOM 영상정보를 개인용 컴퓨터로 옮긴 후 3차원 영상프로그램인 $Mimics^{(R)}$(Materialise, Germany)를 사용하여 얻은 24개의 물성으로 이루어진 상악모델과,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 RME의 협측부, RME의 설측부의 4가지 구성요소를 각기 Nastran 파일형식인 "out"으로 저장하고 Patran에서 합체한 두개안면 복합체의 3차원적 유한요소모델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모델은 제1소구치에서 FH 평면의 45도 하방으로, 제 1 대구치에서 FH 평면의 20도 하방으로 500g의 전방견인력을 주었다. 상악 제1소구치에서 45도 하방으로 견인하였을 때 x축에서는 대구치부위의 확장과 소구치부에서의 협착을 보였고 최대변위량은 0.00011mm였다. y축에서는 전반적으로 전방이동을 보였으며 최대 0.00030mm의 변위와 소구치부위의 변형이 컸다. z축에는 소구치부위에서 하방으로 최 0.00036mm 이동했고, 상악복합체가 전하방으로 이동하였다. 제 1 대구치에서의 20도 하방견인 하였을 때, x축에서는 대구치부위의 협착과 lateral nasal wall의 확장을 보이며 최대 변위는 0.001mm였다. y축에서는 전체적인 전방이동을 보이며, 최대변위는 0.004mm였다. z축에서는 소구치와 대구치 중간부위를 중심으로 ANS는 상방으로 pterygoid plate는 하방으로 반시계방향의 회전양상을 보였으며 최대변위는 0.002mm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tress distribution of maxillary complex by use of face mask. The construction of the three-dimensional FEM model was based on the computed tomography(CT) scans of 13.5 years-old male subject. The CT image were digitized and converted to the finite element model by using the mimics program, with PATRAN. An anteriorly directed force of 500g was applied at the first premolar 45 degrees downwards to the FH plane and at the first molar 20 degrees downwards to the FH plane. When 45 degrees force was applied at maxillary first premolar, there were observed expansion at molar part and constriction at premolar part. The largest displacement was 0.00011mm in the x-axis. In the y-axis, anterior displacement observed generally 0.00030mm at maximum. In the z-axis, maxillary complex was displaced 0.00036 mm forward and downward. When 20 degrees force was applied at maxilla first molar, there were observed expansion at lateral nasal wall and constriction at molar part. The largest displacement was 0.001mm in the X-axis. In the Y-axis, anterior displacement observed generally 0.004mm at maximum. In the Z-axis, ANS was displaced upward and pterygoid complex was displaced downward. The largest displacement was 0.002mm.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