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 성인에서 생활습관과 비타민 D 결핍 관계 융합 연구

A Fusion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Vitamin D Deficiency in Korean Adults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한국인의 비타민 D 수준에 관련된 요인들을 조사 후 인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자료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2014년도에서 연구요인을 가진 1,9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청 Vitamin D와 관련된 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교차 분석을 하였고, 통제변수 통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상대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남성은 40세 미만(OR 4.1), 봄·겨울(OR 4.2, 도시거주(OR 2.1), 흡연자(OR 1.8), 보충제 미복용(OR 2.1), 긴 좌식생활 시간일수록 위험도가 높았다(OR 1.1). 여성은 40세 미만(OR 1.9), 실내직종(OR 4.5), 보충제 미복용(OR 3.0)의 비교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아 남성과 다르게 관찰되었다. 성별 비교위험도가 다르게 관찰된 이유로 성별에 따른 건강행위의 차이로 판단된다. 연구 결과 한국인의 Vitamin D 는 결핍으로 관찰되었으며, 주요한 중재수단으로 Vitamin D가 함유된 보충제의 복용과 야외활동을 늘려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의 질병예방에 기초자료로 이용과 향후 실험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causal factors associated with vitamin D levels of Koreans after research. The data used in the study by KNHANES VI-2.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factors related to serum vitamin D and relative risk was assessed by logistic regression. The estimated summary Odds ratio of groups under 40 was 4.1, Spring and Winter was 4.2, of region was 2.1, of Smoker was 1.8, of not supplementation intake was 2.1, and of sedentary lifestyle 1.1 in male group. And the estimated summary OR of group under 40 was 1.9, of occupation was 4.5, of not supplementation intake was 3.0 in female group. Different results by gender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lifestyle and behavior. It is considered that supplementation intake and outdoor activities should be increased as an important means to recover.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disease of Koreans and to conduct further experimental research.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