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일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Burnout)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Fire Service Officers

  • 0
커버이미지 없음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정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5개구의 5개 소방서에서 근무하고 있는 소방공무원 582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9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소진 정도는 직무스트레스 총점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위험 소진 군」이 나타날 위험비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군에 비해 매우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 연령, 근무경력, 교대근무여부,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 업무에 대한 만족도, 직업전환의사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소진 정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syndrome of firefighters. The research targets were 582 firefighters who worked at five fire stations in the D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st 2019 to September 30, 2019.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urn-ou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On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ylsis, the risk ratio of high levels of burn-o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very high stress groups than that in the groups with low job stress.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burn-out were gender, age, the specific level of job career, shift work, the physical burden of work, the sense of satisfaction with the work, consideration for quitting the job and job str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job stress of firefighters is closely related to burn-out. This demand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that can properly control and curb the factors of job-stres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