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몰입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 대한산업경영학회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Vol.18 No.2
-
2020.0159 - 67 (9 pages)
- 8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통해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위기와 역경을 극복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서울.경기 장애인활동지원사업 수행기관에서 재직 중인 활동지원사 290명을 대상으로 2019.5.1.-6.30.까지 설문조사하여 SPSS 24.0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계갈등이 높을수록, 직장문화에 대한 부적응이 심할수록 직무몰입에 악영향을 미치고 정서적지지, 평가적지지, 정보적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에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계갈등이 많을수록, 직장이 불안정할수록 직장문화에 적응이 힘들수록 이직의도는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몰입을 향상시키며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overcoming difficulties that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experience by verifying the effect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ir turnover intentions, and whether job engagement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performed on 290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associated with disability support organization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 during the period of 2019.5.1.-2019.6.30.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4.0 statistical software, the resul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appears to affect job engagement. High levels of conflict and maladjustment in the workplace had adverse effects on job engagement, while high levels of emotional, evaluative, and informationa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Second, job stress and self-efficacy also had a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High levels of conflict, instability, and maladjustment in the workplace led to a higher level of turnover intentions. Third, job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Fourth, job engagement had no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efficacy and turnover intentions. These results serve to propose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the job stress and improve the job engagement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