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교과 통계 그래프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그래프 지도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Textbooks of Other Subjects to Improve Teaching Graphs in Mathematics Education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Vol.23 No.1
-
2019.01119 - 141 (23 pages)
- 1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타 교과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통계 그래프를 살펴봄으로써 통계적 소양 함양을 강조하는 실용통계 교육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의 통계 그래프 지도의 개선점과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타 교과 교과서 99권을 선정하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 133개를 확인하여 이를 교과별, 종류별로 확인하고 내용 측면과 형태 측면으로 나누어 수학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와는 이질적인 특성을 가진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타 교과 중에서는 사회과에서 통계 그래프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막대그래프와 꺾은선그래프, 표, 원그래프 순으로 등장 빈도가 높았다. 내용 측면에서는 수학과와 타 교과 간 계열성 문제, 비율그래프의 등장 시기, 물결선의 활용이, 형태 측면에서는 시각적 표현의 다양성, 복합적 형태의 표현, 특정 교과에만 등장하는 형태의 그래프가 논의할 만한 이슈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통계 그래프를 지도할 때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언의 형태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statistical graph in mathematics education with respect to practical statistics education for promoting students' statistical literacy. We analyze 133 graphs appearing in 99 elementary textbooks of other subjects (subjects except from mathematics) by subjects and types, and identify some cases of graphs addressed by other subjects. As a results, statistical graph was most addressed in social studies, and bar graphs, line graphs, tables, and circle graphs are most used in other subjects. Moreover, there are some issues related to contents-(1) the problem of curricular sequencing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2) the level of addressing ratio graph, and (3) the use of wavy lines. In terms of forms, (1) the visual variation of graphical representations, (2) representation combining multiple graphs, and (2) graphs specialized for particular subjects are drawn as other issues.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when teaching the statistical graph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