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간호사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통합적 연구
A integrated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physician assistant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ol.6 No.3
-
2020.01159 - 165 (7 pages)
- 63
본 연구는 PA(전담간호사)의 업무 실태를 파악하여 PA제도에 대한 정책 수립의 방향 및 근거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체계적 문헌 고찰적 방법론을 통해 'PA(전담간호사, 의사보조인력)' 검색어로 KISS, 국회도서관, NDSL, RIS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국내에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국내 주요 일간지 11개와 의료계 전문지인 청년의사신문 등 총 12개 신문에 보도된 전담간호사 관련 주요 사건 관련 기사 15편 등 총 23편을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적 융복합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8편의 논문 분석 결과, PA의 업무와 관련된 소진, 직무스트레스 및 불명확한 업무범위 및 규정 부재는 직무 만족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15편의 보도기사를 통해 관련 기관들의 긍정적, 부정적 의견 대립 속에 전문의료인으로서의 자격과 업무에 대한 법제화 및 교육제도 확립이 시급함을 파악하였다. 향후 PA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work of the PA and provide the direction and evidence of policy making on the PA scheme. A convergenc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 total of 23 articles of papers and Internet news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ology. A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KISS, NDSL, RISS,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11 major domestic daily newspapers and Youth Medical Newspaper. The analysis of eight papers showed that the PA's work-related exhaustion, job stress, unclear scope of work and lack of regulations reduced job satisfaction. Through 15 press articles, it was understood that it was urgent to establish a legal system and education system for qualifications and work as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amid a conflict of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of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PA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ecure institutional devices suitable for Korean affairs and prepare educational program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