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유형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에 따른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의 차이에 관한 분석
Investigation o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Marriage and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20 No.8
-
2020.01490 - 498 (9 pages)
- 0
많은 국제결혼가정들은 그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상당한 수준의 스트레스를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경험한다. 본 연구는 결혼의 유형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이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329명의 참여자들은 결혼유형(국제결혼/국내결혼)과 스포츠활동 참여유형(배우자와 함께/따로)에 따라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일원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결혼건강과 결혼생활만족의 그룹 간 차이를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문화적 그리고 언어적 차이와는 상관없이, 배우자와 함께 스포츠 활동에 참여한 응답자들이 그렇지 못한 응답자들보다 4개의 요인(유대감, 의사소통, 가치공유, 결혼생활만족)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배우자와 함께 참여하는 스포츠활동이 결혼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에서 사람들의 더 나은 결혼생활을 돕기 위한 통찰력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experience a considerable amount of stress while adapting to a new culture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rriage type and participation type in sport activity o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The 329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marriage type and sport activity type.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explore differences in marital health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among groups. Result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respondents who enjoyed sport activities with their spouses had relatively higher mean scores across four factors(marital bond,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value-sharing, and marital life satisfaction) than couples who did not. This study found sport activity participation positively impacted marital life, and results would provide insightful data to help people achieve a happier married life in multicultural societ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