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호대학생의 전염병 팬데믹 경험: COVID-19 비확진자 대상으로

  • 0
커버이미지 없음

연구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비확진 간호대학생의 전염병 팬데믹 경험의 본질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방법 : 2020년 4월 14일부터 2020년 4월 23일까지 간호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간호대학생의 전염병 팬데믹 경험을 통해 '걱정을 담고 있는 일상의 연속', 'COVID-19에 빼앗긴 일상 속 투쟁', '두려움과 기대심리에서의 갈등', '외로움과의 싸움', '변경된 수업운영 방침에 대한 혼란과 적응',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대처능력의 향상' 및 '성장의 발판'의 총 7가지 범주가 나타났다. 결론 : 간호대학생은 팬데믹 상황속에서 심리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적응하며 긍정의 방향으로 이끌었다. 진로정체성을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갖을 수 있는 계기로 삶고, 자신의 삶을 보완하려고 노력하였다. 추후 자가격리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경험과 COVID-19 장기화 상황에서의 간호대학생의 경험의 본질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nature of the pandemic experience of an infectious disease among non-confirmed COVID-19 nursing students. Methods: From April 14 to April 23, 2020,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nursing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ology. Results: Seven categories emerged through experiences of pandemic infectious diseases among nursing students. The specific categories are 'the continuation of daily life containing worries', 'struggle in daily life lost by COVID-19', 'conflict in fear and expectation', 'the fight against loneliness', 'confusion and adaptation to the changed class management policy', 'improv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 new phase', 'a springboard for growth'. Conclusion: Nursing students suffered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a pandemic situation, but they adapted and led them to a positive direction. they lived as an opportunity to have time to check their career identity and tried to supplement their lives. We propose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elf-isolation and the nature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prolonged COVID-19 situation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