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과 수준에 따른 복숭아 '천홍'의 신초 발생 및 과실 특성
Shoo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Peach 'Cheonhong' Tree affected by Various Fruiting Levels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ol.7 No.2
-
2021.01339 - 343 (5 pages)
- 0
본 연구는 복숭아 '천홍'의 착과 수준(fruiting level, FLs)을 3수준(FL-Low, Middle, High)으로 하여 결과지의 신초 발달과 성숙 과실의 무게 및 당도를 비교하였다. 결과지당 신초수 분포 비율에서는 FL-Low의 1-2개(42%), FL-Middle의 1개(47%), FL-High의 1개(42%)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 무게 및 당도 분포 비율에서는 FL-Low의 210-270g (50%) 및 10-12Brix (44%), FL-Middle의 180-240g (60%) 및 10-12Brix (59%), FL-High의 180-240g(60%) 및 11-13Brix (48%)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FL-High에서만 과중과 결과지 신초수 간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당도(y)에 대하여 과실 무게(x)는 FL-L에서 y=0.0126x+8.1857, 그리고 결정계수((R<sup>2</sup>)가 0.1964으로 P≤0.01 유의수준에서 매우 높은 관계성이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shoot development and fruit characteristics on fruit bearing branch (FBB) according to the fruiting level (FLs: FL-Low, -Middle, -High) of peach 'Cheonhong'. The number of shoots per FBB according to the FLs were most distributed in 1-2 (42%) of FL-Low, 1 (47%) of FL-Middle and 1 (42%) of FL-High. And fruit weight and soulable solide content were 210-270g (50%) and 10-12Brix (44%), 180-240g (60%) and 10-12Brix (59%), 180-240g (60%) and 11-13Brix (48%), respectively. In addition, only FL-High showed a linear regression correlation between fruit weight and number of shoots. And a linear regression equation of y=0.0126x+8.1857 (R<sup>2</sup>=0.1964, P≤0.01) is shown between the souble solid content (y) and the fruit weight (x).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