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조직내 지식창출을 위한 웹블로그 장르분석의 유용성 발굴: 기술의 사회구성론적 관점

Identifying the Usefulness of Weblog Genre Analysis in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A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Perspective

  • 0
커버이미지 없음

이 논문은 정보커뮤니케이션 기술을 통하여 정보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조직내의 지식창출에 있어서 웹블로그 장르분석의 유용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지식창출은 지식 중심 업무환경에서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지식관리시스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그러나 분산지식관리시스템의 하위 정보시스템이 배치된 부서들의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하여 전체 지식관리시스템은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다 나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하위부서간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웹블로그 사용자들이 사회적 규범을 공유하는 점을 고려한다면 웹블로그가 이러한 사회문화적 차이를 줄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웹블로그의 장르분석이 조직내의 하위부서들 간의 사회문화적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러한 분류 행위가 지식관리시스템의 높은 실패율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조직 지식창출이론과 기술의 사회구성론적 관점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사회화가 적용된 분산정보시스템과 그렇지 못한 시스템을 비교하여 보다 나은 지식관리를 구현하는데 유용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Weblog genre analysis in knowledge creation within an organization where communications are occurred frequently among the employees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Knowledge cre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 in today's knowledge-oriented working environments. There has been huge investment 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such advantages. It is, however, widely recognized that distribut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often fail due to the different social contexts across the sub-organizations where the local information systems are deployed. It is important to coordinate such social gaps across the sub-organizations to achieve better advantages. Given that Weblogs users often feel a shared social norm. Weblogs playa positive role of narrowing the social gaps. This paper argues that the genre analysis of Web logs could provide important clues to narrow the social gaps existed across the sub-organizations within an organization. Hence, such taxonomical practice may be a solution for the high rate of failure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mplementations in an organization. This paper uses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knowledge creation (Nonaka & Takeuchi. 1995) and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 approach (Bijker, 1995) to compare the socialized with the non-socialized integration of distributed information system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a useful framework for better implementing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s especially in distributed working environment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