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의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Marriage Migrant Women's Gender Rol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Domestic Violence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Vol.7 No.2
-
2021.019 - 16 (8 pages)
- 0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성역할태도와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0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J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37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역할태도는 총점 4점 중 평균 2.05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총점 4점 중 평균 2.0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태도는 국내거주기간, 교육수준, 국적, 월평균소득, 국제결혼중개업체의 이용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정폭력에 대한 인식은 연령, 교육수준, 국적, 초혼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에 대한 의식교육과 홍보 등을 통해 다문화가족의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degree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domestic violence targeting marriage migrant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1 married migrant women residing in area J from October 4 to December 20, 2019. Data analysis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gender role attitude was found to be an average of 2.05 points out of 4 points. The subject's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was an average of 2.02 out of 4 poi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role attitud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domestic residence period,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use of international marriage brok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domestic viol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age, education level, nationality, and whether they were married.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hoped that the foundation for preventing and solving domestic violence in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laid through awareness education and publicity on domestic violence.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