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태백바람꽃(Anemone pendulisepala, Ranunculaceae)의 분자계통학적 검토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Anemone pendulisepala (Ranunculaceae)

  • 0
커버이미지 없음

태백바람꽃(Anemone pendulisepala)은 태백산에서 처음 보고된 후, 백두산에서도 발견된 적이 있으며, 회리바람꽃(A. reflexa), 들바람꽃(A. amurensis) 및 꿩의바람꽃(A. raddeana)과 혼생하여 분포하고 있다. 태백바람꽃은 총포엽의 중앙열편의 모양, 총포엽병의 길이, 꽃받침의 정단부, 줄기 내 중심주의 모양에 있어서 이들 세 분류군과 구별된다. 본 연구는 과거 제기되었던 태백바람꽃의 잡종 여부를 확인하고 분류학적 실체를 판단하기 위하여 형태적으로 유사한 회리바람꽃, 들바람꽃과 꿩의바람꽃과 함께 DNA 염기서열(ITS, psba-trnH, rps16, trnLF)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태백바람꽃은 핵 DNA인 ITS구간에서 회리바람꽃과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지며, 들바람꽃, 꿩의바람꽃 순으로 유집되었다. 태백바람꽃은 엽록체 DNA의 rps16구간에서 4개의 염기의 삽입, trnLF구간에서 2개 염기의 차이 및 6개 염기의 삽입에 의해 근연종들로부터 구분되었다. 또한 태백바람꽃은 형태적 특징에 의해 양친종으로 추정되었던 분류군들과 공유하는 염기서열이 없었고, 유전자다형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태백바람꽃은 독립된 종으로 처리되는 것이 타당하며, 유사종간의 교배종은 아닌 것으로 추정되었다.

Anemone pendulisepala, recently described as a new species, is distributed in sympatry with A. reflexa, A. amurensis, and A. raddeana at Mt. taebeark and Mt. Baekdu. Anemone pendulisepala was previously proposed to be a hybrid species between A. reflexa and A. amurensis becaue it displavs overlapping features with them in involucre shape, petiole length, sepal apex and xylem shape, To verify the taxonomic status and to examine the hybridity of A. pendulisepala, sequences of ITS region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the psba-trnH, rps16 and trnLF region of cpDNA from 36 accessions of 5 taxa including outgroup were analyzed. In maximum parsimony tree based on ITS sequences, A. pendulisepala had the same sequences of A. reflexa and was clustered with monophyletic A. amurensis, and then A. raddeana. Anemone pendulisepala wa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axa by having four base insertion in rps16 region, two species-specific bases and insertion in trnLF region. In the phylogenetic trees of combined cpDNA, A. pendulisepala showed monophyly with the bootstrap 100%. Anemone pendulisepala exhibited no polymorphism and shared no sequences with putative parental or related taxa examined in this study. Molecular data suggest that A. pendulisepala should be a distinct species, and no evidence of the hybridization was detectc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