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아동의 운동기능평가에 대한 Interactive Metronome<sup>®</sup> LFA의 타당도 연구

Validity of Long Form Assessment in Interactive Metronome<sup>®</sup> as a Measure of Children's Praxis

  • 0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R)}$: IM)의 평가인 Long Form Assessment(LFA)의 구별타당도와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경남과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만 6세~만11세의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 25명과 일반 아동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M의 LFA에 대한 구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LFA 수행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동시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ADHD 아동을 대상으로 LFA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BOT-2)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일반아동과 ADHD아동에서 IM의 LFA 과제수행을 비교한 결과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ADHD 아동에서 IM의 LFA와 BOT-2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LFA의 총점과 BOT-2의 총점에서 비교적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또한 LFA의 총점과 BOT-2의 손의조절(rs=-.525) 영역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미세운동 정확성(rs=-.447), 손의 기민성(rs=-.532)과 균형(rs=-.623) 하위항목에서 높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 : 연구결과를 통하여 IM의 LFA는 아동의 운동기능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IM의 LFA는 총점으로 운동 실행기능을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며,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를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validity of Long Form Assessment, which is an Interactive Metronome $measure^{(R)}$(LFA-IM), as a measurement of praxis of children. Methods : The study was implemented from March 2015 to July 2015. Twenty-fiv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ose without ADHD (age of 6~11) were selected from a local university hospital and community in Gyeoung-Nam province and Busan for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discriminative validity of LFA-IM,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BOT-2)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results with LFA-IM for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ADHD. For concurrent validity, correlation between LFA-IM and BOT-2 was investigat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 For the comparis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children without ADH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scores of LFA-IM (p<.05). Regarding the concurrent validity,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LFA-IM and BOT-2 (p<.05). In addition,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LFA-IM and BOT-2 for the area of hand control (rs=-.532),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 for the area of fine-motor accuracy (rs=-.447), hand dexterity (rs=-.532), and balance control (rs=-.623) (p<.05). Conclusion : This study identified validities of LFA-IM as an assessment of praxis of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it is appropriate to evaluate praxis of children with the total score of LFA-IM and, thus, it is believed that LFA-IM has a potential clinical utility. However, there should be more researches with large number of subject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