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Effect of Strontium on Polyamine Synthesis and Diamine Oxidase during the Germination of Mung Bean (Vigna radiata L.)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고등식물 세포 내 대사작용에 대한 스트론티움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Strontium에 의한 diamine 산화효소의 활성화로 putresc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배축에서의 diamine 산화효소의 활성은 $0.5-1.8\;mol\;putrescine\;oxidation\;mg^{-1}\;protein\;min^{-1}$이었다. 자엽에서의 putrescine 감소는 적어도 diamine 산화효소에 의한 putrescine의 산화의 결과였다. 더 나아가 strontium 1-10 mM 처리에 의해 spermidine과 spermine 의 축적이 관찰되었다. strontium이 없는 대조구에 비해 spermldine은 2-3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생체중을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뿐만 아니라 RNA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도 동일한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strontium이 diamine 산화 및 polyamine 축적과 같은 polyamine의 대사와 관련되어있음을 보여주었다.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trontium in intracellular processes in mung bean (Vigna radiata L.). Diamine oxidase (DAO) induction by $Sr^{2+}$ appeared to a decrease in putrescine levels correspondently. DAO activities in the hypocotyls were in a range of 0.5 to $1.8unit{\cdot}mg^{-1}\;protein{\cdot}min^{-1}$. The decrease in Put levels in the cotyledons might be partly resulted from Put degradation by DAO. It was observed that the accumulation of spermidine and spermine by $Sr^{2+}$ was in the range of 1 mM to 10 mM. Spermidine levels were 2 to 3 fold higher than in the absence of strontium. The increase in polyamine levels was observed not only on a basis of g fresh weight but also a RNA basi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hibitory action of $Sr^{2+}$ may be closely related with polyamine metabolism as well as diamine oxidation and polyamine accumulation.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