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RAPD, ISSR과 PCR-RFLP를 이용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based on RAPD, ISSR and PCR-RFLP analyses

  • 0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산 제비꽃속 32분류군과 일본산 2집단 등 총 34집단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및 PCR-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 분석에서는 40개의 primer 중 6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70개(98.6%)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ISSR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로 부터 28개(96.6%)의 다형화밴드를 얻었다. 엽록체 DNA의 non-coding부분을 이용한 PCR-RFLP 분석에서는 반응이 일어난 4지역에서 증폭된 약 6.78 kb의 DNA 각각에 대하여 15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총 80개의 restriction site를 얻었으며 그중 16 site는 polymorphic하게 나타나 20%의 다형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3가지 형질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각각의 형질에 의해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유집형태를 보였지만 3가지 형질을 통합한 결과는 진정제비꽃절(sect. Nomimium)내 아절과 계열간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무경종과 유경종도 구별이 가능하여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기존의 분류체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노랑제비꽃절(sect. Chamaemelanium)은 진정제비꽃절과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지 않고 진정제비꽃절 내 무경종그룹인 Patellares아절과 Vaginatae아절 사이에 위치하여 나타났다.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심한 분류군으로 알려진 태백제비꽃군(V. albida complex)은 Patellares아절 내에서 하나의 군으로 유집되어 Pinnatae계열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가지 형질 중 RAPD 분석방법은 ISSR과 PCR-RFLP 분석보다 제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Molecular taxonomic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in Korean Viola 34 taxa including two Japanese populations using RAPD(randornly amplified polymorphic DNA),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and PCR-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Only six and four primers out of 40 arbitrary and 12 ISSR primers were screened for 34 taxa, and were revealed 70 (98.6%) and 28 (96.6%) polymorphic bands, respectively. Fifteen restriction endonucleases produced 80 restriction sites and size variations from the large single copy region of cpDNA, 16 (20%) of which were polymorphic. The separate analyses from the RAPD, ISSR and PCR-RFLP data were incongruent in the relationships among 34 taxa, but combined data wa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infrageneric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especially the subsection and series level. Section Chamaemelanium placed between subsect. Patellares and Vagimtae of section Nomimium was not formed as a distinct group. Viola alb ida complex including three very closely related taxa was recognized independent group within subsect. Patellares in combined data tree. This result strongly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treated to series Pinmtae. RAPD analysis was very useful to clarify the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the species of Korean Viola than ISSH and PCR-RFLP analys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