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형질에 의한 동아시아산 민들레속 2배체 식물의 유연관계
Relationship of diploid East Aisan Taraxacum Wiggers using the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4 No.2
-
2004.01153 - 166 (14 pages)
- 0
동아시아에서 이배체의 유성생식과 무수정결실로 번식하는 민들레속의 종 분화 연구를 위해 한국산(2종4집단), 일본산(2종 4분류군 6집단), 대만산(1종 3집단)의 이배체 민들레 종의 두화형질을 측정하여 유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두화형질은 두화의 크기, 외총포편의 형태와 길이, 외총포편 선단돌기 등의 식별형질을 포함하여 15개의 형질을 측정하였다. 이들 형질은 하나의 개체군내에서도 변이의 폭이 크고, 집단사이, 종들 사이에 있어서도 변이가 중첩되어 나타났다. 형태형질을 이용한 유집분석 결과 4개의 군(한국산과 T. japonicum군, T. platycarpum아종군, T. formosanum군, T. platycarpum subsp. hodoense군)으로 유집되었다. 한국산 좀민들레(이배체)와 산민들레(이배체, 삼배체)가 일본의 간사이 지방에 분포하는 T. japonicum과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서로 가까운 유연관계를 가짐을 추측할 수 있다.
Genus Taraxacum propagated through diploid sexual reproduction and polyploid agamospermy. The cluster analysis of Korean(2 species, 4 population), Japanese (2 species 4 taxa 6 population) and Taiwanese (1 species, 3 population) Taraxacum species using 15 measured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s was conducted to study the speciation of diploid Taraxacum in East Asia. We measured 15 capitulum morphological characters including length of capitulum, length and shape of outer-involucre, corniculate appandage. Within one population, these characters were very various and were overlapped.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using morphological character showed that all species were clustered into four groups (Korean species & T. japonicum group, T. platycarpum subspecies group, T. platycarpum subsp. hodense group, T. formosanum group). Korean species, T. hallaisanense (diploid) and T. ohiwanum (diploid, triploid) were clustered into T. japonicum that was occurred in Kansai provinces of Japan. Therefore, we could infer that Korean species was closely related to Japanese T. japonicum of Japanese speci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