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Rhus L. sensu lato)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Rhus sensu lato (Anacardiaceae) in Korea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4 No.3
-
2004.01205 - 220 (16 pages)
- 0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Rhus) 6분류군간의 한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28집단에 대한 67개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기초로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의 수리분류학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47개의 정량형질을 기초로 한 주성분분석 결과에서는,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값의 77.9%(주성분1 35.2%, 주성분2 22.5%, 주성분3 20.2%), 또한 20개의 정성형질을 기초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주성분 1, 2, 3은 전체분산에 대해 90.7%(주성분1 37.7%, 주성분2 33.0%. 주성분3 20.0%)를 설명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하여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조사된 분류군들은 종집단 간에 뚜렷한 한계를 보이며 유집되었다. 또한, 단순유집계수에 의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UPGMA 표현도를 작성한 결과, 각각의 분류군 사이에는 뚜렷한 한계를 보였다. 군집분석 결과,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 식물의 분류에는 정성적 형질이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리분류학적 연구는 한국산 광의의 붉나무속 6분류군의 분류학적 한계설정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Numerical analysis based on the 67 morphological characters from 28 populations of 6 species of Korean Rhus sensu lato (Anacardiaceae) was performed for the taxonomic delimi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CA with 47 quantitative characters, the sum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of three major principal components was 77,9% (PCl 35.2%, PC2 22.5% and PC3 20.2%). The sum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of three major principal components were 90,7% (PCl 37.7%, PC2 33.0% and PC3 20.0%) based on the results of PCA with 20 qualitative The characters. Two dimensional plotting from PCA results recognized six distinct species. UPGMA phenogram based on simple matching coefficient method recognized clear taxonomic delimitations among six taxa. On the cluster analysis, qualitative characters were more useful for grouping the species treated. Numerical analysis was very valuable to delimit the Korean taxa of Rhus s.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