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산 개나리족(Tribe Forsythieae; Oleaceae)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y of tribe Forsythieae (Oleaceae) in Korea

  • 2
커버이미지 없음

한국산 개나리족 식물의 분류학적 한계를 규명하고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논의하고자 2속 8분류군 25집단으로부터 33개의 형태형질을 측정하여 수리분류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개나리족 8분류군 외에 향선나무를 비교군으로 설정하여 미선나무속의 분류학적 한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고 근연분류군인 개나리족과 향선나무족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주성분 1, 2, 3이 전체분산의 79.6%를 설명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주성분적재값을 기초로 공간배열을 실시한 결과, 각 속별로 크게 3개의 유집군이 형성되었고, 개나리속은 개나리-산개나리-의성개나리 유집군과 만리화-장수만리화 유집군으로 구분되었다. 미선나무속집단은 분류군의 구분 없이 무작위적인 배열을 나타냄으로써 종하분류군들은 기본종의 개체변이로 생각된다. 향선나무는 개나리족의 개나리속집단과 미선나무집단과는 명확하게 독립적인 군집을 형성하여 족 간의 뚜렷한 한계를 나타내었다.

Numerical analysis based on 33 morphological characters from 25 populations of 8 species of tribe Forsythieae in Kore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axonomic delimitation and discuss the systematic relationships. In this study, Fontanesia phyllyreoides Labill was adopted as comparing outgroup to discuss the taxonomic status of Abeliophyllum distichum and elucidate the taxonomic relationships between tribe Forsythieae and tribe Fontanesiae. Based on the results of PCA, the sum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of three major principal components was 79.6% (PC1 54.2%, PC2 15.4% and PC3 10.0%, repectively). Two dimensional plotting from PCA results recognized three distinct generic clusters. Among the populations of Forsythia, two distinct groups were clustered as I. koreana-saxatilis-viridissima and II. ovata-nakaii. However, 15 populations of Abeliophyllum distichum were arranged randomly without any tendency, and the infraspecies of Abeliophyllum distichum could be recognized as individual variations. Fontanesia phyllyreoides Labill was clustered independently and intertribal limitation was clearly distinguishe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