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개구리미나리(Ranunculus cantonien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 및 종분화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speciation of Ranunculus cantoniensis (Ranunculaceae)
- 한국식물분류학회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Vol.34 No.4
-
2004.01335 - 358 (24 pages)
- 0
미나리아재비속(Ranunculus)의 털개구리미나리(R. cantonienesis)의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를 조사하고 잡종화 가설을 추정하기 위하여, 군외군을 포함한 8분류군의 25개 DNA재료를 대상으로 핵 DNA와 엽록체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와 근연종에 대하여 maximum parsimony와 maximum likelihood방법으로 분석한 핵 DNA의 ITS 계통수와 psbA-trnH, rps16, trnL 유전자 구간의 염기서열을 조합한 엽록체 DNA 계통수에서, 털개구리미나리는 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고, 개구리미나리, 왜젓가락나물 순으로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유연관계는 털개구리미나리가 왜젓가락나물과 가장 가깝다는 기존의 외부형태학적 보고와 일치하지 않았다. 염기서열 분석에서 털개구리미나라는 조사된 분류군 중 유일하게 다형성을 나타냄으로서,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보고된 털개구리미나라의 다형성을 지지하였다. 털개구리미나리는 ITS 에서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고, 엽록체 DNA에서 왜젓가락나물의 표지 유전자를 공유하였다. 이 결과는 염색체수와 핵형에 의하여 제시되었던 털개구리미나리가 젓가락나물과 왜젓가락나물의 잡종화에 의하여 종분화되었다는 가설을 지지하였으며, 왜젓가락나물이 모계이며, 젓가락나물이 부계로 추정된다.
To investigate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to test hypothesis of hybrid origin of Ranunculus cantoniensis (Ranunculaceae), the sequences of nrDNA and chloroplast DNA were analyzed for 8 taxa and 25 accessions including 5 accessions of outgroup. In the phylogenetic trees by analyses of maximum parsimony and maximum likelihood for ITS nrDNA sequences and combined data of psbA-trnH, rps16 and trnL sequences of cpDNA, R. cantoniensis was most closely related to R. chinensis, and then to R. taciroi and R. silerifolius. The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were not congruent with the previous report that R. cantoniensis was most closely related to R. silerifolius. In the sequence analysis of ITS and psbA-trnH, rps16, trnL for R. cantoniensis and the related taxa, R. cantoniensis showed polymorphism. It supported that the polymorphism also was reported in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of R. cantoniensis. Ranunculus cantoniensis shared the marker gene of R. chinensis and R. silerifolius in ITS, and one of R. silerifolius in cpDNA. Thes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R. cantoniensis was caused by hybridization between R. chinensis and R. silerifolius based on chromosome number and karyotype, and also estimated that R. silerifolius might be of maternal origin and R. chinensis be paterna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