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맥락에서의 로봇성격 설정의 중요성 연구
The Importance of Robot Personality in a Museum Context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6 No.3
-
2016.01184 - 197 (14 pages)
- 0
본 연구는 사람과 로봇의 인터랙션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로봇과는 달리 실생활에서 만나는 로봇에는 특정한 성격이 존재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다른 맥락을 가지고 있는 공간에서 로봇의 성격을 어떤 식으로 매치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향성, 내향성이라는 두 가지 성격의 유형을 구분하고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전통적인 형태의 박물관, 과정 중심적인 박물관 유형 조건으로 피험자간 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피험자들은 로봇의 성격만 보았을 때 체험요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다른 맥락의 장소 조건에서는 사회 정체감 요소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모든 조건에서의 인터랙션 효과는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사실은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조건은 외향적 성격의 로봇과 과정 중심적인 박물관 유형이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지 않는 조건은 외향적 성격의 로봇과 전통적 유형의 박물관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함의에 대해서는 본문에서 논의하고 있다. 통계 분석은 JMP 9을 사용하여 리서치 모델 및 가설을 검증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human-robot interactions in a museum environment. Unlike robots in movies, robots in real life do not have 'personality,' but instead have a specific purpose and function. This research is primarily about the assignment of specific and appropriate personalities to robots in different contexts. Methods by which a definite personality can be imparted on a robot are discussed in this research. Previous research has addressed attempts to assign a robot personality based on the task context. However, the discussion of robot personality is incomplete. Therefore, we assumed that a robot's character was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its location of use. We planned a $2{\times}2$ comparison of various robot personalities, i.e., introverted or extroverted paired with either a traditional museum or a process-oriented experiential experience. Based on Schmitt's (1999) strategic experiential modules, experiential factors were derived for each set of condit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he software JMP 9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