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춘계와 하계의 군집구조 및 건강도 평가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t Spring and Summer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 한국해양학회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Vol.19 No.4
-
2014.01272 - 286 (15 pages)
- 0
본 연구는 천수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건강도를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천수만 해역에서는 총 224종/$5.2m^2$과 1,940개체/$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다모류가 111종(평균 $22{\pm}11$종)과 31,525 개체(평균 $1,213{\pm}1,080$개체/$m^2$)의 밀도를 나타내 가장 우점하는 생물이었다. 천수만의 주요 우점종은 이매패류의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긴자락송곳갯지렁이(Lumbrineris longifolia), Mediomastus californiensis 및 옆새우류의 Eriopisella schellensis 등이었다. 출현 종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다변량분석(집괴분석과 다차원배열법)을 실시한 결과, 천수만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죽도를 중심으로 만의 안쪽해역 정점군과 만의 입구부해역 정점군)과 2개의 정점(춘계와 하계의 정점 2)으로 구분되었다. 한편 천수만의 건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Benthic Pollution Index(BPI)와 ATZI's Marine Biotic Index(AMBI)지수를 이용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BPI지수는 11(bad status, 가장 불량한 상태)~92(high status, 가장 양호한 상태)의 범위를, AMBI는 1.34(good status, 양호한 상태)~4.39(poor status, 불량한 상태)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천수만은 건강도 지수의 평균 값에 있어 BPI와 AMBI지수가 각각 중간 상태(moderate status, 불량과 양호한 상태의 전이단계)와 양호한 상태를 반영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mmunity structure and health assessment of macrobenthic assemblages in Cheonsu Bay, West Coast of Korea. Total species number was 224 and mean density was $1,940ind./m^2$, both of which were dominated by polychaete worms (111 species and $1,213ind./m^2$). In terms of density, the major dominant species were the bivalve Theora fragilis ($280{\pm}213ind./m^2$), the polychaetes Heteromastus filiformis ($254{\pm}218ind./m^2$), Lumbrineris longifolia ($216{\pm}41ind./m^2$), Mediomastus californiensis ($158{\pm}97ind./m^2$) and the amphipod Eriopisella sechellensis ($167{\pm}100ind./m^2$). As a result of community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nMDS ordinatio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was classified two major groups (inner and mouth of bay) and two stations (station 2 near Ganwol dyke in spring and summer).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and AZTI's Marine Biotic Index (AMBI) were applied to assess the benthic ecological status. During the sampling periods, the BPI Index values varied between 11 (bad status) and 92 (high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AMBI Index values was ranged between 1.34 (good status) and 4.39 (poor status). In conclusion, in terms of the mean BPI and AMBI Index values, the ecological status of Cheonsu Bay were moderate status (ecotone stage) and good status, respectivel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