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 특성과 지역 경제경관의 연계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 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연예술 산업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관련시설이 있는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소비의 유사성을 지닌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각 사업체의 주소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를 적용하여 국지적 핫스팟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분산 분포와 달리 공연장은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응집된 단일 핫스팟이 나타난다.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공연장 밀집지역에는 공연예술 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인근에 밀집분포하며 공연예술 산업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입지적 특성이 파악된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공연장의 분포를 설명하는 경제활동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경관과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o investigate the linkages with local economy. For the purpose, we examine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in Korea first, and than focus on Seoul where the resource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re concentrated to the utmost. To distinguish the distribution aspect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we apply the Kernel density analysis and LISA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on the address data of performing art theater, gallery, and movie theater. In contrast to galleries and movie theater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performing art theaters reveals a unique local cluster centered on the Daehakro area. We confirm that the Daehakro area constitutes a performing art industry cluster in their dense distribution of various related activities making up the value chain of the performing art industr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bes the related economic activities to explain the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 theaters as well as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