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Study 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동의한 간호대학 3,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27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20일까지 자료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은 보통이상으로 나타났고 변수들간의 관계는 자기효능감(r=.533, p<.001), 의사소통능력(r=.497, p<.001), 비판적 사고성향(r=.439, p<.001) 모두 임상수행능력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순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0.8%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나아가서 이러한 요인들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A convenience sample of 274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four colleg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st to 20th 2015.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the SPSS WIN 21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were fou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0.8% of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mage for the nurse wer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he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