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국가지식-학술정보

한국의 산림 분야별 평가와 이에 기초한 산림 공적개발원조 발전 방안

A Strateg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Forest Sector based on Evaluation by Field in Korea

  • 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 임업발전에 기여한 분야와 분야별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우선 중점분야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한국 산림ODA의 확산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산림 및 임업발전 기여도와 산림ODA 사업 시 국제경쟁력에 대해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산림보존 및 산림황폐지 복구' 영역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집단 중 ODA 전문가 집단은 '산림정책 및 제도 연구 역량강화' 영역의 국제경쟁력을 산림전문가 집단에 비해 높이 평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한국 산림 ODA 우선 중점분야에 대하여 일반인은 '탄소배출권 관리'와 '산림 종 다양성 보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황폐지 복구 등과 같은 기존의 단위사업을 선호하는 전문가 집단과는 큰 인식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산림ODA 실행을 위해서는 과거 한국의 산림복구녹화경험을 기초로 하고 국제사회에서 새롭게 요구하는 기후변화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등의 신 분야에 대처할 수 있는 산림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해집단 간 인식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북한 산림 복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orea's forest ODA through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 on the fields that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forestry in Korea and would have competitiveness in developing countries and priority fields for Korea's forest ODA.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48 subjects from the general and expert stakeholder groups. Chi-square test in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OVA and Duncan test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s by group. The whole general and expert groups consider that 'forest conservation and rehabilitation'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forestry most and consider its global competitiveness most high. Comparing expert groups, ODA experts evaluated the competitiveness of 'capacity building for policies, institutions and research' higher than the forestry experts. For priority fields of Korea's forest ODA, general groups perceived 'management of CERs' and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most important, showing the clear difference in perception compared to that of experts. In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forest ODA of Korea, the effort to fill the gap between the general and expert groups needs to be made, as well as developing forestry capacity building programs to cope with the fields such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which is newly required in a global society, in addition to using the past experience of forest rehabilitation in Korea. It will be useful for the rehabilitation of North Korea's forest in the future.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