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정보격차의 메카니즘, 특징 및 시사점에 관하여
Discussions on Mechanisms,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5 No.4
-
2015.01246 - 262 (17 pages)
- 0
노년기 정보격차는 정보화와 고령화로 특징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 개인적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논의가 미흡한 실정임을 고려하여, 노년기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인 접근과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개념적 이해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식격차가설, 정보격차가설, 혁신확산이론 및 정치경제학 등 네 가지 이론을 통해 정보격차의 일반적 메카니즘을 고찰한다.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접근, 갈등이론적 접근 및 상호작용론적 접근 등 다양한 이론적 시각들을 통해 노년기 정보격차를 설명한다. 셋째, 노년기 정보격차 현상과 특징에 대하여 정보복지격차 등 다섯 가지 개념적 설명과 정의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노년기 정보격차는 다중적이고 복합적이므로 이에 대해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노인 개인적 안녕과 사회적 불평등 측면에서 노년기 정보격차 해소에 더 많은 학문적,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digital divide has become an important social issue in the two waves of informatization and aging society.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various theoretical approaches and discussions on the mechanisms of the digital divide and to synthetically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This study examines 1) four theoretical approaches on the mechanisms of digital divide among people in general, 2) thre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six specific explanations on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and 3) five controversial features and concepts of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multi-dimensional digital divide in old age and more attention to the digital divide in old age in terms of individual well-being and social inequalities.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