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조직침묵 관련 국내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Organization Silence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조직침묵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조직침묵의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변수와 대상자의 융합적 관련성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수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조직침묵 관련 연구 26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이중 25편(96.2%)의 연구가 2011년부터 2015년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또한 전체연구의 25편(96.2%)이 서술적 조사연구였다. 연구대상자는 주로 경찰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호텔종사원, 기업종사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침묵 측정은 Van Dyne, Ang & Botero(2003)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이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조직침묵 결과변수로는 이직의도를 제시한 연구가 13편으로 가장 많았다. 조직침묵에 대해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한 확대 연구와 국내 풍토에 적합한 측정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one to review and summarize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organizational silence, to realize convergent association of relating variables, subjects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26 research papers related to organizational silence,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6 and 2015, were analyzed. 25 articles wa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15. 96.2% of the study were descriptive research. The subject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the police, hotel employees, corporate employees.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Van Dyne, Ang & Botero(2003) were used and modified. Turnover intention were used in 13 studies as dependent variable of organizational sil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hould be performed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silence and to develop measurement instrument of organizational silence in Korea climat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