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의 목적과 함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령화 인구를 대상으로
Investigation on Smart City Objectives and Implications: Adaption to Silver Population in Korea as Target Citizens
- 한국콘텐츠학회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Vol.17 No.6
-
2017.01470 - 478 (9 pages)
- 2
본 연구는 현존 스마트시티의 목표와 개념을 명확히 규명하며,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주요 기술적 관점을 구체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포괄적인 탐색과 분석을 통해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기존의 모호한 논의를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5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의 실버인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이들을 핵심 표적으로 하는 스마트시티의 바람직한 모델을 이론적인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인구를 위한 미래지향적 스마트시티의 주제로서 의료보건관리, 은퇴 이후의 고용창출, 지역기반 관리체계, 친환경 사회기반시설 등 네 가지 사항을 제시하였다. 특히 실버인구의 복지후생은 미래지향적 스마트시티의 핵심적 사항이며, 친환경적인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이 강조되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objectives, concepts, and technical aspects of existing Smart Cities in theoretical terms in order to resolve any ambiguities the definition of Smart City currently has. Through this, theoretical recommendations for Smart City that targets elderly citizen are made. The elderly citizens in question are people currently in their mid-50s to early 60s, in order to adequately employ futuristic technologies into four major sectors: healthcare, post-retirement employment, community-based governance, and environment-friendly infrastructure. The research concludes that while the technical application of welfare to the elderlies through constructing a purposeful Smart City is desirable, environmental consideration should come in prior concern as a sustainable foundation of livelihood is needed for citizen accommodation.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