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양증에서의 분자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Genetic Analysis in Dystroglycanopathy with the Fukuyama 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Phenotype

  • 3
커버이미지 없음

목적: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양증은 희귀한 열성 유전질환으로 영아 시기에 발병하는 근긴장 저하, 뇌 기형 및 dystroglycanopathy 특징들을 보인다. 선천성 근육병의 넓은 스펙트럼에 여러 질환들이 존재하여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양증 진단을 어렵게 하지만, 유전형과 표현형 상관관계를 파악하면 진단을 도울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분자유전학 분석을 통해 선정한 FKTN 유전자와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증의 표현형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이 연구는 후향적으로 9명의 대상자들로 진행하였다. 영아 시기에 발병하는 근긴장 저하의 증상 및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기형 소견을 보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FKTN 유전자를 이용한 염기서열 검사를 통해 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9명의 대상자들 중 남성이 4명(44.4%), 여성이 5명(55.5%) 였다. 첫 증상이 발병한 나이의 중간값은 3.1개월였다. 6명(66.7%) 에서 첫 증상이 발달지연으로 나타났다. 모든 환자들은 영아 시기에 근긴장 저하 및 전반적 발달 지연 소견을 보였다. 또한, 모든 환자들은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피질 기형 소견을 보였다. 9명의 환자들 중 6명이 근육생검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4명(4/6; 66.7%)이 특이 소견을 보였다.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일으키는 FKTN 유전자 돌연변이는 3명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이 연구에서 FKTN 유전자 변이를 보인 3명의 대상자들은 모두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큰뇌이랑증 및 소뇌 형성장애 소견들을 보였다. 이것을 통해 근육병 증상을 보이면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특징적인 소견들을 보일 시 Fukuyama 선천성 근이영양증을 진단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Purpose: Fukuyama 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FCMD) is a rare, autosomal-recess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early-onset hypotonia associated with brain malformations in dystroglycanopathy. Although the wide spectrum of congenital muscular dystrophies causes difficulty in diagnosis, correlating the genotype with the clinical phenotype can help diagnose FCMD. Here,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of targeted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FKTN gene mutation with the FCMD phenotyp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retrospectively with 9 subjects. Inclusion criteria included clinical symptoms characterized by early-onset hypotonia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eaturing brain malformations. FKTN gene-alter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arious FKTN gene-analysis methods, including sequencing. Results: Among the 9 subjects studied, 4 (44.4%) were male and 5 (55.6%) were female. The median age of onset of the first symptom was 3.1 months. The first symptom was a delayed milestone in 6 cases (66.7%). All 9 subjects (100%) presented with early-onset hypotonia and global delayed development. All subjects presented with cortical malformation in their brain MRIs. Of the 9 subjects, 6 subjects had previously undergone muscle biopsy and 4 cases (4/6; 66.7%) showed dystrophic or myopathic features. Pathogenic mutations causing FCMD were identified in 3 cases. Conclusions: In this study, all 3 subjects with FKTN mutations showed important MRI findings (pachygyria and cerebellar dysplasia). These data suggest that patients with characteristic phenotypes who show pachygyria and cerebellar abnormalities in brain MRIs may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diagnosed with FCMD.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