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간호사의 환자관련 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요인의 융합적 상호작용

Convergent Interaction Effects of Six Worklife Area on Relation between Nurse's Patients related Stress and Burnout

  • 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 개인이 지각하는 환자관련 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이 미치는 융합적 상호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68명의 간호사였으며 자료는 2014년 7월 1일부터 15일까지 편의표집 되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환자관련 스트레스, 직무환경, 직무탈진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환자관련 스트레스는 직무탈진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환자관련 스트레스와 직무탈진의 관계에서 직무환경 요인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 업무부하가 낮을수록 그리고 통제감, 보상, 공정성, 가치가 높을수록 환자관련 스트레스가 직무탈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감소하는 조절효과를 보여주었고, 커뮤니티는 직무탈진을 낮추는 주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간호사의 직무탈진 완화를 위해 병원 차원의 직무환경 개선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vergent interaction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relation between patients related stress and nurse's burnout. Data were collect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68 nurses at hospital in Seoul, Korea from 1 July to 15 July 2014.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measured patients related stress, work environment, and burnout. In the results, patients related stress enhanced burnout.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f work environments to relation between patients related stress to burnout showed that high control, rewards, fairness, and value and low overload reduced the influence of patients related stress to burnout. And community had main effect to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e's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lieving burnou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