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경제철학으로서의 한국고유사상 정합성연구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as the Service Economy Philosophy
- 서비스사이언스학회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Vol.7 No.3
-
2017.01105 - 118 (14 pages)
- 0
본 연구는 서비스경제의 발전을 이끌어갈 기본 철학을 탐구하였다. 한국고유사상이 서비스경제 철학에 부합하며, 한국고유사상의 발현을 통해 서비스문화가 확산되고 서비스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서비스경제는 서비스라는 관계재화가 중심이 되므로, 실체성을 강조하는 서양철학보다 관계성을 강조하는 동양철학이 서비스경제 철학으로서 더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음양 또는 천지의 2태극 사상은 서비스경제에서 중심으로 부상된 인간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지 않으므로, 인간을 중시하는 새로운 철학이 요구된다. 천지(음양)의 양극 구조 철학을 뛰어넘는 천지인 3태극 구조의 한국 고유 사상이 서비스경제시대,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인류사회와 경제의 발전을 견인하는 중심철학이 될 수 있다. 천지인 3재의 본성은 조화성, 수평성, 쌍방향성, 관계성 등의 서비스본질과도 부합하므로 천지인 3태극 사상은 서비스경제시대의 기본 철학이 될 수 있다. 인간이 하늘과 땅의 주관자 및 주도자로서 역할을 하는 사상이 현대 서비스경제에서 경영자와 종업원 및 소비자인 사람이 창조자로서 중심역할을 하는 구조와 부합한다. 따라서, 한국고유사상은 서비스경제를 이끌어갈 사상적 기반으로서 정합되며, 서비스경제를 육성시킬 수 있는 철학적 프레임이 된다.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basic philosophy that would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economy. In particular, the current work suggest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fits the philosophy of the service economy because of the relational nature of the Eastern culture (vs. Western cultur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rough manifest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the service economy would be invigorated. The yin-yang and the Two Taegeuk do not emphasize the role of human, and thus, a new philosophy incorporating this aspect needs closer attention. Therefore, the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structured in a Three Taegeuk framework could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economy. The Three Taegeuk framework relates to the harmonization, horizontality, bi-directionality, and relational aspects of the service industries. For example, human serving the agent role in the society resembles the current service economy where service workers and customers serve important roles in value creation. Taken together,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that the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economy.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