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MP를 이용한 희소 표현 방식 얼굴 인식 방법론
Face Recognition via Sparse Representation using the ROMP Metho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Vol.18 No.2
-
2017.01347 - 356 (10 pages)
- 0
희소 표현을 이용한 얼굴 인식 방법론은 강인성이 입증된 우수한 얼굴 인식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론의 단점은 $L_1$-노름 최적화 문제를 통해 희소해를 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시간 응용 분야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통상적인 $L_2$-노름 최적화 문제를 통해 얻어진 희소해는 희소성이 결여되고 정확도가 떨어져서 희소 표현을 이용한 인식 방법론에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는 탐욕적인 방식으로 $L_2$-노름 최적화 문제를 푸는 ROMP 방식을 도입해 희소해를 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식이 정확도에서 기존 방식과 유사하며 속도는 60배 이상 빠름을 보였다. 또한, 희소 표현기반인식 방법론으로 희소해의 분포만을 고려하여 분류하는 단순한 방식인 C-SCI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론은 테스트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존 방식과 성능 면에서는 유사하나 속도 면에서는 약 5배 빠름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고, 이론적인 복잡도 분석 결과도 제시하였다.
It is well-known that the face recognition method via sparse representation has been proved very robust and showed good performance. Its weakness is, however, that its time complexity is very high because it should solve $L_1$-minimization problem to find the sparse sol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to use the ROMP(Regularized Orthogonal Matching Pursuit) method for the sparse solution, which solves the $L_2$-minimization problem with regularization condition using the greed strategy. In experiments, we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able to the existing best $L_1$-minimization solver, Homotopy, but is 60 times faster than Homotopy. Also, we proposed C-SCI method for classification. The C-SCI method is very effective since it considers the sparse solution only without reconstructing the test data. It is shown that the C-SCI method is comparable to, but is 5 times faster than the existing best classification method.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