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재한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환경에서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Acculturation Level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 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상황 하에서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수도권 소재 10개 대학의 학부 및 대학원 석/박사 과정에 속해있는 총 395명의 중국인 유학생들이 문화적응도 및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관련 삶의 질 SF-12 도구를 이용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었다. 그 결과 문화적응도가 낮은 유학생들은 건강증진행위가 신체적 삶의 질 점수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도가 높은 경우 건강증진행위가 정신적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통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재한 중국유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문화적응도를 함께 고려하면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t acculturation environment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From November 2010 to December 2011, 395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undergraduate, masters or doctorate courses from 10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Seoul and vicinity participated in self-report survey of the acculturation level,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F-12,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e data of 395 students were classified to 3 groups based on the acculturation level. The low level group showe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trongly influence the physical component score of quality of life. As the acculturation level increased,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closely affected to the ment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lturation level may be control variable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