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학습동기모델과 특수목적영어 융합 모듈 프로그램 평가연구: 간호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An Evaluation Study of an ESP Module Program Combining with Keller's Learning Motivation Model for the 1<sup>st</sup> grade Nursing Students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학과목 적응과 외국어 능력 향상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고안된 Keller의 학습동기 모델과 특수목적영어를 융합한 모듈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이다. 특수목적영어 융합 모듈 프로그램을 적용한 험군과, 전통적 강의방식을 적용한 대조군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실험설계를 통해 비교하고, 듈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주관적인 효과를 질적 자료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동기의 총합은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가 유의하였지만(t= 2.391, p=.019), 학업성취도에서는 두 그룹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t=0.116, =.098). 융합 모듈프로그램에 대한 주관적 효과들로는 '흥미로움', '학습에 효과적임', '임상의 이해를 도움', '자신감과 만족감을 경험함' 등 4가지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Keller의 학습동기 모델과 특수목적영어를 융합한 모듈 프로그램은 호학과 영어에 대한 부담을 가진 신입생들에게 흥미를 주고, 학습과 임상의 이해를 도울 뿐 아니라, 자신감과 만족감을 험하게 하는 등, 학습동기를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n ESP module program which combines Keller's ARCS model for the $1^{st}$ grade nursing students.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compared between an interven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ir perception and subjective effects on the module program were identified. Quantitative data showed that the overall level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t=2.391, p=.019).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wo groups (t=0.116, p=.098). Contents analysis on the qualitative data showed that ESP module program was interesting, effective, helpful for understanding clinical settings, and giv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assumed that the ESP module program which combines ARCS model can be effective in motivating the $1^{st}$ grade nursing students to learn nursing contents and English.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