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위험도 공간정보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Map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 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기후변화 및 도시 집중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도시침수에 대비하고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격자단위의 상세 위험정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으로, RCP 8.5 강우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내 외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재해 특성, 노출특성, 취약성 등에 대한 위험정보를 격자단위로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목현동에 위치한 목현천 만곡부 지역과 송정동에 위치한 경안천 합류부 지역에서 침수영향이 클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침수흔적도와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 밀집지역인 송정동 일대가 침수에 많이 노출되고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제도를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기능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게 된다면 방재대책 수립에 필요한 고위험지역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methods for urban flood risk maps which are useful in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by climate change. Selecting the Gwangju city, Gyeonggi-do as study area, it analyzes urban flood at a RCP 8.5 scenario, and develops gridded information regarding risk components such as hazard, exposure, and vulnerability. It turns out that flooding would occur at a bend interval of the Mokhyun stream and also at the joint of the Gyungan and the Mokhyun streams, showing the similarity with the inundation trace map. In particular, the Songjeong dong is analyzed to be seriously exposed and to be highly vulnerable to flood inundation. With all results together,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posed method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0)

(0)

로딩중